조회 4,615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04-21 11:25
중국계 자동차 미국 추월, 탄탄한 내수 기반 세계 주요 시장 점유율 19.5%
세계 주요 8개 시장의 메이커 국적별 판매량에서 중국이 미국을 추월했다. 탄탄한 내수 시장을 기반으로 한 로컬 브랜드의 급성장과 중국 정부의 적극적 소비진작책 덕분이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21일, 2022년 해외 주요 자동차 시장 및 정책동향 보고서에서 '주요 8개국 자동차 판매는 0.6% 감소한 8102만대(LMC 기준)로 중국을 비롯한 신흥시장은 회복세를 보인 반면, 유럽과 미국, 러시아, 브라질 시장은 감소했다'라고 말했다.
8개 주요 자동차 시장은 미국, 중국, 유럽, 인도, 브라질, 러시아, 멕시코, 아세안 등이다. 이 가운데 미국은 지난해 공급망 차질과 이에 따른 신차 공급부족, 인플레이션 심화로 차량 가격은 상승한 반면, 급격한 금리인상으로 8.1% 감소한 1373만 대, 유럽도 같은 이유로 4.1% 감소한 1128만 대를 각각 기록했다.
반면 중국은 하반기 강력한 소비 진작책과 봉쇄 완화로 수요가 빠르게 회복해 9.7% 증가한 2357만 대를 기록했다. 국가별 내수 1위 자리도 유지했다. 인도 역시 23.0% 증가한 379만 2000대로 내수 규모를 키웠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해외 완성차 대부분이 발을 뺀 러시아는 58.8% 감소한 68만 7000대를 기록했다.
주목할 것은 주요 시장의 메이커 국적별 판매량에서 중국이 미국을 제쳤다는 사실이다. 중국계 완성차는 BYD 등 EV업체를 비롯한 로컬 브랜드의 내수 시장 성장을 기반으로 전년 대비 24.3% 증가한 1139만대를 팔아 19.5%를 점유하며 미국계(18.3%)를 처음 넘어섰다.
유럽계는 5.5% 감소한 1507만 대, 일본계는 5.9% 감소한 1478만 대, 한국계는 중국과 러시아 시장 리스크 확대로 4.4% 감소한 427만 대를 지난해 주요 시장에서 팔았다. 유럽계와 일본계 점유율은 각각 25.8%, 25.3%다. 한국계 시장 점유율은 2021년 7.7%에서 작년 7.3%로 0.4%p 축소됐다.
전동차 모델 판매는 크게 늘었다.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순수 전기차 등 전동화 모델은 2021년 대비 43.4% 증가한 1438만 대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순수 전기차는 738만 대로 전동화 모델 전체 판매량의 절반을 넘어섰다.
KAMA 강남훈 회장은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 우리 산업이 도태되지 않고 전기차 생산 주도권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전기차 생산 전환 및 미래차 초격차 기술 확보가 시급하다”라며 '전기차 생산시설에 대한 투자가 적기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세액공제를 경쟁국 수준으로 대폭 확대하고 지원도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 SUV GLC EV 티저 이미지 공개
[0] 2025-08-05 17:25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현대차·기아, 전기차 충전 생태계 강화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에 300억원 규모 유상증자
-
'애플 자율주행 기술 빼내 중국으로 도피' 美 법무부, 중국 출신 엔지니어 기소
-
한국타이어, 가정의 달 맞이 ‘해피 패밀리 데이’ 프로모션 진행
-
지난밤 연례주총서 공개된 테슬라의 차세대 신차 '개발 아닌 제작 중'
-
지프, 체로키 13만 2000대 외부 주차 권고 '파워 리프트게이트 단락 원인'
-
현대모비스, 세계 최초 개발한 차량용 뇌파 시스템 아동 심리 상담에 활용
-
르노코리아, 미래 전략 공유ㆍ우수협력사 시상 ‘2023 협력업체 컨퍼런스’ 개최
-
'주행 및 편의사양 강화' 2024년형 미니 일렉트릭 5210만 원에 출시
-
르노, 내달 18일 E-테크 하이브리드 접목한 쿠페형 SUV '라팔' 공개
-
MINI 코리아, 상품성 강화된 2024년형 ‘MINI 일렉트릭’ 국내 공식 출시
-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 4월 미국시장 소형 SUV 부문 점유율 1위
-
더클래스 효성, ‘사고 수리 지원 프로모션’ 진행
-
르노코리아자동차, ‘2023 협력업체 컨퍼런스’ 개최
-
우신시스템, RIVIAN 전기차 자동화 라인 수주
-
온세미, 켐파워(Kempower)와 전기차 충전기 위한 전략적 협약 체결
-
'20대 온라인 스페셜 한정판' 벤츠, EQA 250 AMG Line 출시
-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 4월 美 시장 소형 SUV 부문 점유율 및 국내 자동차 수출 1위
-
현대자동차기아 ‘2023 발명의 날’ 행사 개최
-
포드 머스탱, 지난 10년간 가장 많이 팔린 스포츠카
-
넥센타이어, ESG 경영 강화 위해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가입
- [유머] 전설의 자취생 3대 괴물
- [유머] 펜싱검에 새겨진 멋진 문구
- [유머] 위안부 할머니 8명 이름 삭제
- [유머] 스포 떡상한 샹크스스포
- [유머] 신뢰안가게 생긴 과학자 관상
- [유머] 여름을 그림 한장으로 표현하기
- [유머] 외국인이 요즘 한국인한테 하는 욕 근황
- [뉴스] 안철수, 李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중 '조국·윤미향 사면 반대' 플래카드 시위
- [뉴스] 이재명 대통령 '북한 체제 존중, 흡수통일 추구하지 않을 것'
- [뉴스] '이주노동자 지게차 결박' 가해자, 4년 전에도 동일한 가해?... 충격 진술 나왔다
- [뉴스] '무통주사' 맞고 숨진 20대 산모, 사망 원인 밝혀졌다
- [뉴스] '군대 판 기생충이네'... 부대 사무실 15개월 간 '내 집'처럼 쓴 군무원
- [뉴스] '다큐3일' 재회현장 안동역 폭발물 신고 접수... 10년만의 재회 '물거품'
- [뉴스] '굿데이 출신' 류지원, 백혈병 투병 사실 고백... '벌써 3개월이 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