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4,473회 댓글 0건

머니맨
2023-07-10 17:25
[기자 수첩] 일본, 아세안 최대 車 생산국 태국 시장 장악력 흔들
태국은 아세안 최대 자동차 생산국이다. 연간 생산 대수가 250만 대에 근접한 때도 있었다. 2011년 대홍수, 2020년 코로나 사태 때 140만 대까지 떨어졌지만 2021년 이후 꾸준히 늘기 시작해 지난해 188만 대로 회복세에 들어섰다.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의 공장 19곳이 들어선 태국의 자동차 생산 능력은 연간 400만 대에 이른다. 국가 GDP의 7.5%를 차지할 정도로 태국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자동차 산업은 일본 자동차가 지배하고 있다.
도요타와 혼다, 닛산, 스즈키 등 일본 기업은 지난 1960년대 부터 태국에 거점을 구축하기 시작해 자동차 생산과 유통, 판매 대부분을 장악했다. 지난해 기준 도요타의 태국 내수 점유율은 34%다. 2위 이스즈의 24%, 혼다(10%), 미쓰비시(6%), 마쓰다(4%) 등을 모두 합치면 일본 브랜드 시장 점유율은 78.8%에 달한다.
그러나 태국의 전기차 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중국의 저가 전기차가 쓰나미처럼 밀려 들면서 60년 이상 이어져 온 일본의 견고한 시장 지배력이 전기차에 발목을 잡혀 무너질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코로나 이슈 이전 연간 100만 대 수준이었던 태국 내수 시장은 전기차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실제로 태국 전기차 수요는 2021년 4000대를 밑돌았지만 지난해 1만 3500대로 급증했다. 올해 1분기에는 2만 8000대로 작년 판매 대수를 초과해 배 이상 늘었다.
현지에서는 올해 10만 대 이상의 전기차가 팔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85만 여대를 기록한 태국 신차 내수 규모로 보면 전기차 비중이 10% 이상까지 급증할 수 있다. 태국이 아세안 지역에서 가장 큰 전기차 시장으로 성장할 수 있다고 보는 이유다.
태국 전기차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는 건 정부의 적극적 지원 때문인다. 태국은 전기차 생산과 보급을 장려하기 위해 오는 파는 차가 아니라 2030년 까지 생산 차량의 30%를 전기차로 요구하고 있다.
도요타와 혼다, 닛산 일본 빅3는 태국은 물론 세계 시장에서 제대로 팔만한 전기차를 아직 내 놓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체 생산 차량의 30%를 7년 이내 전기차로 대체하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태국 정부는 또 전기차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오는 2025년까지 대당 7만~15만 바트(200만 원~400만 원)까지 보조금과 세제 혜택을 분다. 판매 비중이 큰 픽업트럭은 15만 바트(550만 원)를 지원한다. 태국의 1톤 픽업트럭 비중은 50% 이상이다.
내연기관 자동차와 이륜차 공해에 질린 태국 소비자 인식도 달라지고 있다. 현지에서는 보조금 등을 통해 내연기관차와 차이가 거의 없고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전기차 선호도가 상승하고 있다는 소식이 자주 전해진다.
전기차 중심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태국 시장은 중국 업체들이 잠식하고 있다. 태국 국토부 통계를 보면 중국 상하이자동차 계열 MG의 시장 점유율이 28%로 가장 높았고 BYD가 21%다. 17%를 점유한 ORA 역시 중국 업체다.
테슬라가 11%로 분전하고 있지만 예년 수준과 비교하면 점유율 하락세가 뚜렷하다. 도요타가 첫 순수 전기차 bZ4X 판매를 시작했지만 중국 모델과 워작 가격 차이가 커 큰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
중국 전기차의 시장 지배력이 커지면서 태국 기업들도 주목하기 시작했다. 로이터는 1962년부터 60년 이상 닛산과 제휴해 온 시암 모터(Siam Motors)가 최근 BYD, 장성 기차 등 중국 업체를 잠재적 파트너로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아세안 시장 전체를 겨냥해 생산 능력과 인프라가 충분한 태국에 매우 적극적으로 전략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 동시에 초저가 경쟁력을 갖춘 전기차를 투입하고 있다. 이런 공세에 별다른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는 일본의 태국 시장 지배력이 언제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 궁금해진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 SUV GLC EV 티저 이미지 공개
[0] 2025-08-05 17:25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르노코리아, 고객 서비스 밸류업으로 내수시장 공략
-
[2023 재팬 모빌리티쇼] 中 BYD, 양왕 'U8' 앞세워 日 프리미엄 전기 SUV 공략
-
[2023 재팬 모빌리티쇼] 도요타 전동화 · 지능화 담은 미래 콘셉트카 4종 공개
-
[2023 재팬 모빌리티쇼] 렉서스 '차세대 전기 콘셉트' 공개...2026년 출시
-
현대모비스, ‘설계안전성검토’ 시스템 제조업 최초 구축 사업장 의무 적용
-
페라리, 세상에 단 한 대 F8 스파이더 아키텍처 기반 순종 로드스터 ‘SP-8’ 공개
-
기아, 내달 1일 전기차 포함 인증 중고차 사업 시작...200개 항목 검수
-
현대차, 아이오닉 포레스트 베트남 메콩강 삼각주 지역 맹그로브 숲 복원
-
현대차그룹, ‘힐스 온 휠스’ 영상 '애드아시아 2023 서울' 이노베이션상 수상
-
슈퍼레이스 최종전, 11월 4일~5일 더블 라운드로 개최 ‘챔피언 탄생의 순간’
-
[2023 재팬 모빌리티쇼] 4년 만에 화려한 부활 '모터쇼'에서 '모빌리티쇼'로 진화
-
기아, 멋을 좀 아는 중형 세단 '더 뉴 K5' 사전계약 개시...2784만원부터
-
'이네오스 그레나디어 서울' 쇼룸 방문 예약 고객 차량 무상 점검 서비스 제공
-
美 타임지가 뽑은 2023 최고의 발명품 '기아 EV6 GT'...스릴 넘치는 가속력
-
토요타, 인도 정부에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세율 인하 요청
-
UAW, 스텔란티스 최대의 조립 공장에도 파업 확대
-
르노그룹, 2024년 전 세계 주요 모터쇼 참가 발표
-
에이모, AI EXPO TOKYO 전시회 참가
-
페라리, 뉴욕 갈라쇼 자선 경매 수익금 전액 교육 프로젝트에 기부
-
BMW 모토라드, ‘GS 트로피 2024’ 한국 대표팀 최종 선발
- [유머] 위안부 할머니 8명 이름 삭제
- [유머] 스포 떡상한 샹크스스포
- [유머] 신뢰안가게 생긴 과학자 관상
- [유머] 여름을 그림 한장으로 표현하기
- [유머] 외국인이 요즘 한국인한테 하는 욕 근황
- [유머] 요즘 법원 근황
- [유머] 요즘 역사교과서 근황
- [뉴스] 수해복구 현장서 숨진 베테랑 굴착기 기사... 유족 '책임지는 사람 하나 없어' 울분
- [뉴스] '바쉐론 시계' 전달한 사업가 '윤석열, 대선 꿈도 안 꿔... 서울시장 나가려 했다'
- [뉴스] '테이블 밑에도 몰카가...' 제주 중소기업 대표 40대 아들, 여직원 불법촬영 논란
- [뉴스] 박나래가 만났던 '키 190cm' 전남친 의심부터 한 기안84
- [뉴스] '유재석 웃음벨' 홍진경이 유느님 생일 축하하는 방법
- [뉴스] 박하선, '♥류수영' 덕에 전 세계 2개 있는 '7성급 호텔'서 호화 여행
- [뉴스] '좀비딸' 15일 연속 박스오피스 1위 지켰다... 400만 돌파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