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6,486회 댓글 0건
3
머니맨
2023-09-06 11:25
美 NHTSA, 팽창기 결함 ARC 에어백 강제 리콜 추진....현대차 포함 5200만 대

[오토헤럴드=김흥식 기자] 에어백 인플레이터 결함으로 팽창시 금속 파편에 의한 2차 부상 위험이 제기된 ARC 오토모티브에 강제 리콜 명령이 내려진다. ARC 에어백 리콜이 결정되면 2014년 시작한 타카타 사태 이후 가장 큰 규모가 될 전망이다.
미국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5일(현지 시간), ARC와 델파이가 제조한 운전석과 동승자석 에어백 팽창기에 중대한 결함이 있다고 판단, 오는 10월 5일(현지 시간) 워싱턴에서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공개 회의를 갖고 강제 리콜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강제 리콜 추진은 ARC와 생산한 5200만 개 에어백 인플레이터가 충분히 부풀어 오르지 않은 상태에서 터지면서 파편이 튀어 승객의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도 회사가 적극적인 조치를 거부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ARC 에어백 논란은 지난 2016년 캐나다에서 현대차 운전자가 에어백 폭발로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시작했다. 이후 7건 이상의 유사한 사고가 발생하자 NHTSA가 조사를 시작했다.
NHTSA에 따르면 ARC 에어백은 질산암모늄 가스가 이물질에 막혀 제대로 흐르지 못한 상태에서 팽창, 주변 부품과 함께 폭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GM 등 일부 업체는 선제적으로 리콜을 실시하는 등 조치에 나섰지만 ARC는 NHTSA가 제기한 결함 내역에 동의할 수 없다며 리콜에 응하지 않아 왔다.
ARC는 '자체적 검사에서 중대한 결함이 발견되지 않았다'라며 NHTSA의 자발적 리콜을 거부했다. 이날 공개회의에서 ARC 에어백에 대한 강제 리콜이 결정되면 2004년 처음 결함이 발견돼 전 세계적으로 1억 개 이상의 리콜이 실시된 타카다 사태 이후 최대 규모가 될 전망이다.
한편 문제가 되고 있는 ARC 에어백은 현대차와 기아 그리고 폭스바겐, 지엠, 포드, 테슬라, 도요타, 벤츠, BMW 등 주요 완성차 업체들이 지난 2000년 초부터 2018년 초까지 사용했으며 대상 차는 약 5200만 대에 이른다. ARC 오토모티브는 국내에도 마케팅 조직을 갖고 있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3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2025년 11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11-01 16:45 -
토요타, '주행거리 746km' 신형 bZ4X 일본 출시…전기차 부진 털어낼까
[0] 2025-10-14 14:25 -
기아, 'PV5' 기부 사회공헌 사업 'Kia Move & Connect' 시작
[0] 2025-10-14 14:25 -
2025년 10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10-01 17:45 -
2025년 9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9-01 16:45 -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 SUV GLC EV 티저 이미지 공개
[0] 2025-08-05 17:25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오프로더의 정석 '이네오스 그레나디어' 서울 전시장 오픈...풀샵 서비스 구축
-
BMW 5시리즈 순수전기차 'i5' 국내 인증 완료…주행가능거리 복합 399km
-
일렉트로비트와 NXP 반도체,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을 위한 S32G3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지원 협력
-
베바스토, 루프에 탑재하는 ADAS 시스템 출시
-
중 장성자동차, 바이두의 AI 챗봇 차량에 탑재
-
'BMW 예고된 새로운 시대' 내달 2일, 뉴 클래스 양산 직전 콘셉트 최초 공개
-
삼성SDI-스텔란티스, 합작 2공장 MOU 체결
-
LG에너지솔루션, 칠레 SQM社와 세계 최대 규모 리튬 구매계약 체결
-
글로벌 패밀리카 지향. 혼다 6세대 CR-V 시승기
-
상반기 배터리 사용량, LG엔솔 증가 불구 BYD에 밀려 3위
-
렉서스 RZㆍRXㆍES 등 최신 프리미엄 하이브리드·전동화 라인업 모델 시승
-
주행거리 과장 광고했다...테슬라, 美 캘리포니아에서 집단 소송 직면
-
중고차, 8월 비수기에도 가성비 모델 및 싼타페ㆍXC60ㆍ카이엔 등 SUV 시세 상승
-
'조합원 찬반투표 56.57% 찬성' KG 모빌리티 업계 최초 2023년 임단협 타결
-
상반기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전년비 50.1% 증가 '韓 3사 점유율 2.2%p 하락'
-
테슬라의 주행거리 과장에 관해 미국 소비자들 집단 소송 준비
-
테슬라, 7월 중국산 모델 판매 6월보다 31% 감소
-
메르세데스 올라 캘레니우스, “머지 않아 전기차 기하급수적 성장 가능”
-
전고체전지, 양산 시작해도 전기차 시장의 빠른 침투는 어려울 전망
-
토요타코리아, ‘2023 토요타 썸머 드라이브’ 캠페인 실시
- [유머] 다음에 오는 10연휴는 언제일까여
- [유머] 0.1초의 기적이 만들어낸 게임 역사상 명장면
- [유머] 남편이 암에 걸려 쿠팡 새벽 배송하는 외국인 아내의 삶
- [유머] 곰이 출몰하는 일본 삿포로 주택가
- [유머] 하시나 전 총리 사형선고
- [유머] 만3천명이 투표한 취침 시간
- [유머] 각 나라별 꼭 먹어봐야 하는 음식
- [뉴스] '출석하세요'... 경찰에 '현금' 숨긴 선물 보낸 피의자
- [뉴스] 두산 팬들 오늘 파티다... 조수행, 4년 16억에 잔류
- [뉴스] 두 달 동안 500만개 팔렸는데... SNS 화제의 '메롱바' 유해성 논란 터졌다
- [뉴스] '차박텐트' 연결 차량서 2명 숨진 채 발견... 일산화탄소 중독 추정
- [뉴스] '아리아, 도와줘' 할아버지 구조 요청 들은 '꿈돌이 돌봄 로봇', 119 신고해 구조
- [뉴스] 개혁신당 이준석 의원실 보좌진, 성비위 의혹으로 검찰 송치
- [뉴스] 길거리서 의식 잃은 고등학생, '응급실 뺑뺑이'로 병원 찾다 숨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