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6,469회 댓글 0건
3
머니맨
2023-09-06 11:25
美 NHTSA, 팽창기 결함 ARC 에어백 강제 리콜 추진....현대차 포함 5200만 대

[오토헤럴드=김흥식 기자] 에어백 인플레이터 결함으로 팽창시 금속 파편에 의한 2차 부상 위험이 제기된 ARC 오토모티브에 강제 리콜 명령이 내려진다. ARC 에어백 리콜이 결정되면 2014년 시작한 타카타 사태 이후 가장 큰 규모가 될 전망이다.
미국 고속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5일(현지 시간), ARC와 델파이가 제조한 운전석과 동승자석 에어백 팽창기에 중대한 결함이 있다고 판단, 오는 10월 5일(현지 시간) 워싱턴에서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공개 회의를 갖고 강제 리콜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강제 리콜 추진은 ARC와 생산한 5200만 개 에어백 인플레이터가 충분히 부풀어 오르지 않은 상태에서 터지면서 파편이 튀어 승객의 심각한 부상이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도 회사가 적극적인 조치를 거부하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ARC 에어백 논란은 지난 2016년 캐나다에서 현대차 운전자가 에어백 폭발로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시작했다. 이후 7건 이상의 유사한 사고가 발생하자 NHTSA가 조사를 시작했다.
NHTSA에 따르면 ARC 에어백은 질산암모늄 가스가 이물질에 막혀 제대로 흐르지 못한 상태에서 팽창, 주변 부품과 함께 폭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GM 등 일부 업체는 선제적으로 리콜을 실시하는 등 조치에 나섰지만 ARC는 NHTSA가 제기한 결함 내역에 동의할 수 없다며 리콜에 응하지 않아 왔다.
ARC는 '자체적 검사에서 중대한 결함이 발견되지 않았다'라며 NHTSA의 자발적 리콜을 거부했다. 이날 공개회의에서 ARC 에어백에 대한 강제 리콜이 결정되면 2004년 처음 결함이 발견돼 전 세계적으로 1억 개 이상의 리콜이 실시된 타카다 사태 이후 최대 규모가 될 전망이다.
한편 문제가 되고 있는 ARC 에어백은 현대차와 기아 그리고 폭스바겐, 지엠, 포드, 테슬라, 도요타, 벤츠, BMW 등 주요 완성차 업체들이 지난 2000년 초부터 2018년 초까지 사용했으며 대상 차는 약 5200만 대에 이른다. ARC 오토모티브는 국내에도 마케팅 조직을 갖고 있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3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2025년 11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11-01 16:45 -
토요타, '주행거리 746km' 신형 bZ4X 일본 출시…전기차 부진 털어낼까
[0] 2025-10-14 14:25 -
기아, 'PV5' 기부 사회공헌 사업 'Kia Move & Connect' 시작
[0] 2025-10-14 14:25 -
2025년 10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10-01 17:45 -
2025년 9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9-01 16:45 -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 SUV GLC EV 티저 이미지 공개
[0] 2025-08-05 17:25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테슬라, 가격 인하가 브랜드 이미지에 불리?
-
미국 캘리포니아, 이번에는 디젤 엔진 사용하는 기차 배출가스 규제 개시
-
벤틀리ㆍ부가티 등 자동차 디자인 경력 20년 '토비아스 슐만' 맥라렌 CDO 임명
-
BMW 코리아, 서원밸리CC와 업무 협약 체결 및 국내 유일 LPGA 개최지 확정
-
현대모비스 조성환 사장, SW+반도체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 및 신성장 사업 추진
-
테슬라, 중국 슈퍼차저 충전소도 다른 브랜드에게 공개 시작
-
BMW iVentures, 희토류 재활용회사 사이클릭 머티리얼즈에 투자
-
[영상] 무시할 수 없는 막내, BMW X1 sDrive 20i 시승기
-
미국 태양광과 풍력 발전이 석탄 발전 앞질렀다.
-
[EV 트렌드] 테슬라 '수산 시장 시가(市價) 전략 실패' 최악 재고와 시총 폭락
-
원메이크 '2023 현대 N 페스티벌' 29일 개막, 7개월 9라운드 대장정 돌입
-
[르뽀] 배달 서비스까지 '아우디 충전 허브 뉘른베르크' 발상 전환 전기차 충전 인프라
-
메르세데스-벤츠 사회공헌위원회, 녹색어머니 중앙회와 서울시 330개 초등학교 안전 등하교 지원
-
[Q&A] 토요타 사토 코지 CEO, 전기차는 탄소중립을 위한 수단
-
한국교통안전공단, Drr 및 dSPACE와 함께 운전자 지원 시스템 검사 방법 개발
-
현대차, ‘2023 캐스퍼’ 출시
-
볼보트럭코리아-에프원텍, FM 크루캡 다기능 소방차 출고 기념식 진행
-
개발자가 말하는 코나 일렉트릭 공간 확장의 비밀, 배터리팩 높이 조절 포인트
-
[EV 트렌드] 테슬라 배터리 수명 공개...32만 km 달린 후 12% 성능 저하
-
애스턴마틴, 윌리엄 왕세자도 시승한 궁극의 럭셔리 SUV 'DBX707' 매력이란
- [유머] 호주산 소고기만 유독 가격이 저렴한 이유
- [유머] 연대 경영 vs 1천억 일시불
- [유머] 이중 두 가지를 받는 다면..
- [유머] 누나 레전드
- [유머] 룰렛 저작권 사태
- [유머] 시골 배달비 만원이 넘네??
- [유머] 국방부가 뽑은 간식 top5
- [뉴스] 추사랑, 야노 시호 닮은 '모델 DNA' 입증... 겨울 화보 공개
- [뉴스] '李대통령, 남산 꼭대기에 매달면 1억' 발언 후폭풍... 전한길 '농담 반 진담 반 풍자일 뿐'
- [뉴스] 이번 주말 '지하철' 이용하세요... 양대노총 전국노동자대회 개최
- [뉴스] '2주에 5000만원'... '둘째 출산' 이시영, 강남 초호화 산후조리원서 회복한다
- [뉴스] 김건희 측 '그라프 목걸이 받은 적 없어... DNA 감정 위해 표피세포·각질 필요하다면 내겠다'
- [뉴스] '새까만 사람들' 인종차별 논란에... 김철수 대한적십자사 회장 사의 표명
- [뉴스] 친딸 6살때부터 성폭행한 50대 아빠, 징역 15년 선고... '화학적 거세' 청구는 기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