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7,252회 댓글 0건

머니맨
2024-01-08 11:25
[기자 수첩] 스텔란티스, 美 빅3 자격 없다...현대차그룹 순위 역전 후 논쟁
미국 완성차 빅3로 불리는 스텔란티스 계열 가운데 가장 많이 팔리는 이탈리아 피아트(피아트 제공)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제너럴모터스(GM), 포드와 함께 미국 빅3로 불리는 스텔란티스는 피아트와 크라이슬러의 FCA, 푸조와 시트로엥의 PSA가 2020년 합병하면서 탄생한 거대 기업이다.
푸조, 시트로엥, 피아트, 크라이슬러, 지프, 알파 로메오, 마세라티 등 14개의 완성차 브랜드를 거느리게 된 스텔란티스는 출범 후 단박에 세계 시장 점유율 약 9%(2022년 기준)를 차지하며 세계 4위 업체로 순위가 수직 상승했다. 스텔란티스 계열은 고성능 브랜드 아바쓰(Abarth) 등의 추가로 현재 16개로 늘었다.
이 때까지만 해도 수입 브랜드인 도요타를 제외하면 지엠과 포드에 이어 내수 3위를 유지한 스텔란티스를 미국 빅3로 부르는데 이견이 없었다. 그런데 스텔란티스가 지난해 현대차그룹에 밀려 4위로 추락하자 빅3로 불릴 자격이 있는지를 두고 이런 저런 얘기들이 나오고 있다.
따져보면 스텔란티스는 미국 기업도 아니다. 본사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있다. 스텔란티스에 속한 14개 완성차 가운데 미국 브랜드는 크라이슬러와 지프, 램, 닷지 정도에 불과하다. 스텔란티스 전체 계열 가운데 판매와 매출 비중이 가장 큰 브랜드도 미국 것들이 아니다.
지난 2022년을 기준으로 피아트가 120만 대로 전체 계열 브랜드 가운데 1위를 차지했고 푸조가 105만 대로 뒤를 잇는다. 스텔란티스가 2022년 기록한 630만 대의 30% 이상을 유럽 토종 브랜드가 차지했다. 미국 빅3로 불리는 것이 이상할 정도다.
미국 시장에서도 스텔란티스 위상은 급격히 추락하고 있다. 지난해 스텔란티스는 FCA 계열 브랜드(지프, 크라이슬러, 닷지, 램, 알파로메오, 피아트)를 주축으로 152만 대를 팔았다. 스텔란티스 계열 가운데 미국 토종 브랜드 1위는 64만 대를 기록한 지프다.
그러나 158만 대를 판 현대차그룹에 4위 자리를 내줬다. 그러면서 유럽에 본사가 있고 유럽 브랜드 비중이 압도적인데다가 도요타와 현대차 등 아시아 업체에도 뒤진 스텔란티스가 왜 미국 빅3냐라는 것이 논란의 핵심이다.
그 자리를 테슬라가 채워야 한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테슬라의 지난해 미국 시장 판매 대수는 약 68만 대로 아직은 스텔란티스와 비교할 수준이 아니지만 유럽이 아닌 미국을 본거지로 하는 테슬라를 미국 빅3로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반론도 있다. 스텔란티스 계열 가운데 순수 미국 토종 브랜드로 볼 수 있는 크라이슬러와 닷지, 지프, 램 등을 합친 150만 대를 팔았다. 도요타와 현대차가 중간에 끼어 있기는 하지만 연간 판매 실적만 놓고 봤을 때 빅3 자격이 충분하다는 반박이다.
스텔란티스가 미국 빅3로 불렸던 건 크라이슬러가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로 창사 100주년을 맞는 크라이슬러가 이제 연간 13만 대를 파는 평범한 브랜드로 전락했다. 세계 최대 자동차 산업국 미국에서 빅3라는 영예로운 호칭의 자격이 스텔란티스에 있는지 궁금하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토요타, '주행거리 746km' 신형 bZ4X 일본 출시…전기차 부진 털어낼까
[0] 2025-10-14 14:25 -
기아, 'PV5' 기부 사회공헌 사업 'Kia Move & Connect' 시작
[0] 2025-10-14 14:25 -
2025년 10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10-01 17:45 -
2025년 9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9-01 16:45 -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 SUV GLC EV 티저 이미지 공개
[0] 2025-08-05 17:25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보다 스포티한 내외관 변화' 현대차 코나 일렉트릭 N 라인 공개
-
'침대보다 더한 과학' 현대트랜시스, 최첨단 시트 엔지니어링으로 미래차 방향성 제시
-
현대차·기아 TVD 양희원 본부장 사장 승진, R&D 총괄 ...SDV 가속화
-
포스코인터, 현대차ㆍ기아 유럽 현지산 전기차 '구동모터코아' 공급
-
폭스바겐 티구안 올스페이스, 내년부터 타이론...포르쉐 느낌 디자인 노출
-
어! 하이브리드 하면 도요타 아니었어...혼다 美 시장서 의외의 반전
-
[EV 트렌드] 中 BYD, 파우치형 배터리 생산 중단 '전해액 누출 가능성 커져'
-
대동모빌리티, 배터리 교환형 전기 스쿠터 GS100 B2C 판매 사전 예약
-
도요타 올해 글로벌 생산량 1030만 대 목표 '2년 연속 사상 최대치'
-
타이어는 국산, 수입차 포함 교체할 때 5명 중 3명 선택...한국타이어 1위
-
[컨슈머인사이트] 타이어 바꿀 때…국산차 87%, 수입차 61% ‘국산’으로
-
테슬라, 유럽시장에서도 가격 인하 단행
-
중국 상하이자동차, 2025년 해외 판매 150만대 목표
-
SK온, 미국 솔리드파워와 협력 강화… 전고체 배터리 개발 가속
-
이스라엘 스토어닷, 셀 투 팩 설계 I-BEAM XFC 컨셉을 공개
-
중국 BYD, 새로운 스마트카 시스템 슈안지 출시
-
볼보, “올 해 전기차 판매 큰 폭 증가 예상”
-
새로운 운전자 경험의 세계를 열다, CES 2024 하만 익스폴로어
-
쉐보레 孝車 '트레일블레이저' 지난해 국산차 수출 1위...트랙스 크로스오버 4위
-
화재 가능성 르노 SM3 · 주행 중 멈춤 기아 카렌스 등 10만여대 리콜
- [유머] 치매 아내가 잠깐 정신이 돌아오자 한 일
- [유머] 유럽 가로등의 비밀
- [유머] 과자를 더 맛있게 먹는 방법
- [유머] 시어머니에게 전통 춤 추는 며느리
- [유머] 근데 웹툰 내려친때 매번 지겹게 나오는게 웹툰은 다 똑같다인데.
- [유머] 중국식 새우튀김이 위험한 이유
- [유머] 미쳐버린 쿠팡 포장 레전드
- [뉴스] 쓰레기 수거차량과 전봇대 사이에 끼어 숨진 50대 환경 미화원... 당시 CCTV 공개됐다
- [뉴스] 이청용, 신태용 감독 연상케하는 '골프 세리머니'... 경질 논란에 첫 입장 표명
- [뉴스] '노출 심해 지적 중 가슴 터치했다' 최후 변론에... 피해자가 공개한 옷 보니
- [뉴스] 국군 교도소 재소자 식대, 민간의 2.5배... PX 이용에 할인까지 받는다
- [뉴스] '완치돼서 숨겼다'... 아내의 성병 기록 본 남편, 충격에 결혼생활 무너져
- [뉴스] '은밀한 스킨십, 블랙박스에 다 찍혔어요'... 여자 아이돌 협박해 1000만원 뜯어낸 렌트카 사장
- [뉴스] '구준엽 처제' 대만 배우, 눈물의 수상 소감 '언니 사진 옆에 상 놓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