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7,007회 댓글 0건
3
머니맨
2024-03-15 11:25
테슬라, 5년간 5조 원 벌어 고위 임원 급여로 3조 원...소득세 환급까지
AI 생성 이미지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미국 거대 기업 최고 임원들이 수익 상당 부분을 급여 명목으로 챙겨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거액의 급여를 받으면서도 연방 소득세를 환급 받기까지 해 사실상 한 푼의 세금도 내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공정한 세금을 위한 미국인 연합(Americans for Tax Fairness. AFTF)'이 최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포드, 넷플릭스, 테슬라 등 35개 기업이 CEO를 포함한 최고 임원들에게 최근 5년간 지급한 임금은 총 95억 달러(약 12조 6000억 원)에 달했다.
반면 이들이 낸 연방 소득세는 -18억 달러(약 2조 4000억 원)로 나타났다. 미국은 여러 주에 따라 세율에 차이가 있지만 거액의 급여를 받은 이들이 매 달 낸 소득세 가운데 18억 달러를 환급받아 한 푼의 세금도 내지 않았다는 얘기다.
미국 연방 소득세는 개인의 소득 수준에 따라 7등급으로 나눠 더 많은 소득을 올리면 더 많은 세금을 내도록 하는 제도다. 우리나라 급여 생활자가 매 달 꼬박꼬박 내는 소득세와 같은 개념이다. AFTF는 조사 기업 가운데 29곳은 지난 5년, 최소 2년 동안 최고 경영진에게 연방소득세보다 더 많은 임금을 지불했다고 지적했다.
AFTF가 끔찍한 사례로 언급한 기업 가운데 테슬라는 지난 5년간 미국에서 44억 달러의 이익을 거두고 이 가운데 25억 달러를 임원들의 급여로 지급했다. 하지만 100만 달러를 환급받아 사실상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았다. 테슬라 이익에서 임원 급여가 차지하는 비중은 56%에 달한다.
포드도 같은 기간 78억 달러 이익을 거두고 이 가운데 3억 5500만 달러를 임원 급여로 지불했다. 포드는 그러나 1억 2100만 달러의 연방 소득세를 납부해 환급액은 많지 않았다. 임원 등 직원에게 지불하는 급여는 모든 세액 공제 대상이 된다.
이 때문에 현지에서는 최고 임원들에 과도한 임금을 지불해 법인세를 회피하고 심지어 소득세 일부를 환급받은 것으로 드러나면서 부자들에 대한 비난과 함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AFTF는 경영진에 지급되는 과도한 임금은 사업 확장과 일반 근로자의 처우 개선에 쓸 수 있는 돈을 낭비하는 것이라며 부적절한 법인세 세율과 고위 임원들의 과도한 임금을 규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총자산은 3월 기준 2079억 달러(약 275조 원)이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3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토요타, '주행거리 746km' 신형 bZ4X 일본 출시…전기차 부진 털어낼까
[0] 2025-10-14 14:25 -
기아, 'PV5' 기부 사회공헌 사업 'Kia Move & Connect' 시작
[0] 2025-10-14 14:25 -
2025년 10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10-01 17:45 -
2025년 9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9-01 16:45 -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 SUV GLC EV 티저 이미지 공개
[0] 2025-08-05 17:25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볼보자동차코리아, ‘XC40 다크 에디션' 온라인 판매 시작 4분 만에 44대 전량 완판
-
포르쉐코리아, 3세대 신형 파나메라 국내 공식 출시
-
개에게 이동의 자유를...현대차, 반려견을 위한 자율주행차 '도그빌리티' 공개
-
LG에너지솔루션·GM 얼티엄셀즈 제2공장 첫 번째 배터리 셀 고객사 인도
-
볼보 XC40 다크 에디션’, 기다림 없이 즉시 출고 한정판 4분만에 44대 완판
-
'전방위적 더 강력함' 포르쉐, 신형 파나메라 출시… 판매가 1억 7670만 원 시작
-
닛산과 미쓰비시, 전동 픽업트럭 공동 개발
-
테슬라, 누계 생산 600만대 돌파
-
올 해 유럽 전기차 시장 중국산이 25% 예상,
-
3월 국내 5사 판매실적, 현대차·기아의 부진 속 선전한 GM
-
현대차, 2024년 3월 36만 9,132대 판매
-
이 정도면 압도적...현대차그룹 전기차, 세계 주요 '올해의 차' 274회 수상
-
[김흥식 칼럼] 르노코리아, 참담한 1분기 성적...오로라는 서광이 될 수 있을까?
-
랜드로버 '올 뉴 디펜더 OCTA' 연내 공개 예정...V8 트윈 터보 극한 성능 발휘
-
기아, 플래그십 세단 ‘K9’ 2024년형 출시...시작 가격 118만원 인상
-
국내 완성차 5개사 내수 판매 심각, 수출도 하락세 '전년동월比 3.0% 감소'
-
르노코리아, 2024년 3월 내수 2,039대, 수출 5,094대
-
KG 모빌리티, 3월 10,702대 판매, 7개월 만의 최대 실적
-
스텔란티스코리아, ‘신뢰 회복·브랜드 강화’ 약속
-
전동화 · SUV 중심에서 '잃어버린 존재감' 플래그십 세단의 시대는 끝
- [유머] 캄보디아 인근에서 한국여성 숨진채 발견
- [유머] 캄보디아 프놈펨 병원 의혹
- [유머] 서성한출신 30대 중반 공무원 시험 합격 후기
- [유머] 부여 지역축제 근황
- [유머] 산에 표범 풀겠다
- [유머] 윈도우 10 점유율
- [유머] 홍수속에서 부인이 목숨 걸고 구한것
- [뉴스] 지드래곤·차은우, APEC 만찬회장 달궈... 각국 정상들도 휴대폰 꺼내 촬영 삼매경
- [뉴스] 젠슨 황 '한국이 AI 주권국될 것... 핵심 경쟁력 모두 갖춘 나라'
- [뉴스] '그만 살아' 뇌병변 친형 살해한 60대... '심신미약' 주장에도 국민참여재판 거쳐 '징역 1년'
- [뉴스] LG 트윈스, 2025 한국시리즈 우승... 한화 꺾고 2년 만에 왕좌 복귀
- [뉴스] '탁구 간판' 신유빈, 세계 18위 디아스 꺾고 WTT 몽펠리에 8강 진출
- [뉴스] 비 내리는 핼러윈 밤 이태원... '매우 혼잡' 지하철 무정차 통과 조치
- [뉴스] 승객들 얼굴 향해 '소화기' 뿌려... 서울 지하철 1호선 50대 난동남 체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