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6,743회 댓글 0건

머니맨
2024-06-12 11:45
찔끔찔끔은 옛말, 순수 전기차보다 더 멀리 가는 초장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중국 립모터(Leapmotor) C11은 43.74kWh 배터리로 일부 순수 전기차보다 긴 299km를 주행할 수 있다.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전기 모터와 내연기관을 탑재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가 기존 모델들보다 두 배에서 많게는 세 배까지 주행 거리를 늘린 모델이 쏟아져 나오면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PHEV는 저용량 배터리로 일상과 출퇴근 등 단거리를 순수 전기모드로 달리고 장거리는 충전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반면, 30km에서 길어야 60km를 넘지 않는 짧은 주행 거리로 잦은 충전이 필요하고 급속 충전에 제한을 받는 단점으로 국내에서는 찬밥 신세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유럽은 다르다. PHEV 올해 시장 점유율이 7.2%에 달한다. 전기 모드 주행 거리가 100km 이상되는 PHEV가 쏟아져 나오기 시작하면 현재 12% 수준인 디젤차를 추월하는 일이 벌어질 수도 있다.
시장에는 순수 전기차와 맞먹는 주행 거리를 갖고 있는 PHEV가 이미 나와있다. 지난해 스텔란티스가 지분을 인수해 주목을 받은 중국 립모터(Leapmotor) C11은 43.74kWh 배터리로 299km, 또 다른 중국 업체 호존(Hozon Auto)의 Neta S는 43.88kWh 배터리로 310km(CLTC)를 달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
메르세데스-벤츠 GLC 350e는 31.2kW 배터리로 1회 충전, 최대 130km를 달릴 수 있다.
중국 신생 전기차 업체가 갖고 있는 대부분 PHEV 주행 거리는 200~300km의 제원을 갖고 있다. 중국의 CLTC가 비교적 후한 수치를 주기로 유명하지만 일반적인 전기차와 다르지 않은 주행 거리라는 점에서 주목해야 한다.
PHEV 주행거리가 비약적으로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내연기관을 합쳐 2000km 이상 주행이 가능한 중국산 모델도 연이어 소개되고 있다. 중국 BYD는 현재 1151km인 송 플러스 DM-i의 배터리 용량을 키우고 차세대 PHEV 기술로 개발한 신차 출시를 앞두고 있다. 지리(Geely)는 1370km를 달리는 갤럭시 L6를 기반으로 총 2000km 주행이 가능한 PHEV를 출시를 예고했다.
유럽 업체 중에서도 비교적 까다로운 산출 방식으로 1회 충전 100km 주행 제원을 갖고 있는 PHEV가 제법 있다. 유럽산 PHEV 가운데 전기 모드 최장 거리 기록을 갖고 있는 메르세데스-벤츠 GLC 350e는 SUV, 쿠페 모두 31.2kW 배터리로 1회 충전, 최대 130km를 달릴 수 있다.
최근 출시한 스코다 코디악은 25.7kWh에 불과한 배터리로 1회 충전 120km 주행이 가능하다.
레인지로버 스포츠 P460e도 38.2kWh의 거대한 배터리로 1회 충전, 123km를 전기 모드로 달린다. 유럽산 PHEV 가운데 가장 큰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했고 3.0리터 R6 가솔린 엔진이 조합해 최고 출력 460마력을 발휘한다.
가장 최근 스코다는 1회 충전 120km 주행이 가능한 코디악 iV PHEV를 출시하고 사전 계약을 시작했다. 코디악 iV PHEV는 중국산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25.7kWh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했지만 급속 충전이 가능하고 26분 만에 배터리를 10%에서 80%까지 채울 수 있다.
내연기관차와 전기차의 경계가 모호한 PHEV가 정치적 이유로 급변할 수 있는 환경 규제의 대안이 될 수도 있다. 유럽연합은 이번 의회 선거 결과로 2035년으로 잡혀있는 내연기관차 판매 종료 시점이 조절될 수 있고 미국은 대선 결과에 따라 같은 친환경차 정책의 판이 뒤집힐 수 있는 상황이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 SUV GLC EV 티저 이미지 공개
[0] 2025-08-05 17:25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시승기] BMW 4세대 완전변경 X3 '이상과 현실에서 오는 묘한 괴리감'
-
혼다코리아, 2025년형 ‘CBR1000RR-R파이어블레이드SP’ 출시
-
폴스타, 첫 전기 SUV 쿠페 ‘폴스타 4’ 출고 개시...최대 511km 주행
-
이건 원격 조정 아니겠지? 테슬라 옵티머스 '캐치볼' 영상 화제
-
29년간 매년 138대 팔았다. 기아 강진수 선임 '그랜드 마스터 등극'
-
[시승기] 새로운 디자인·세단 같은 승차감 앞세운 ‘BMW 뉴 X3’
-
[영상] BYD의 성공 공식: 전기차 시장을 지배하는 세 가지 비결
-
아시아 타이어 생산의 중심지, 미쉐린 람차방 공장 탐방
-
전기차와 기후 변화 시대, 미쉐린의 지속가능한 타이어 전략
-
2024 미쉐린 아태지역 미디어 데이: 지속 가능성과 혁신의 여정
-
르노코리아 그랑 콜레오스, 주한 프랑스 대사의 새로운 공식차량으로 선정
-
아우디 코리아, 고객 초청 ‘2024 아우디 서비스 익스피리언스’ 개최
-
로터스자동차코리아, 가격 경쟁력 높인 하이퍼 SUV 엘레트라 신규 모델 출시
-
이네오스 오토모티브, 텍사스 트럭 로데오에서 오프로드 부문 2개 수상
-
현대차, 인도네시아 EV 충전 구독 서비스 개시
-
캐딜락, 2026 시즌부터 포뮬러 원(Formula 1) 참가
-
테슬라, 400개 중국 현지 부품업체와 계약.. 60개 이상은 글로벌 공급망에 진입
-
포르쉐, 전기차 부진으로 내연기관 버전 다시 살린다
-
중국 샤오미, 2025년 1분기 두 번째 전기차 출시한다
-
르노트럭, 2026년 600km 주행거리 E-Tech 트럭 출시한다
- [유머] 여름을 그림 한장으로 표현하기
- [유머] 외국인이 요즘 한국인한테 하는 욕 근황
- [유머] 요즘 법원 근황
- [유머] 요즘 역사교과서 근황
- [유머] 딸 선호율 세계 1위 국가
- [유머] 감자칩 과자 보지맛
- [유머] 펀쿨섹좌 근황
- [뉴스] '강남역 인근 4성급 호텔에서 무심코 천장 봤다가... '버섯'을 발견했습니다'
- [뉴스] 셀프로 매직하다가 머리카락 '숭덩'... 매직약 제조사 '제품 문제 없어' (영상)
- [뉴스] 16년 소송 끝에 환수한 '친일파 땅', 57만 평 중 고작 1평... 법의 허점이 만든 비극 (영상)
- [뉴스] 프로미스나인 백지헌, 배우 데뷔... 청춘 음악 영화 '너드 랩소디' 출연 확정
- [뉴스] 최양락-팽현숙, 美 명문대 출신 엘리트 사위 최초 공개... '신혼 1년차'
- [뉴스] 물 들어오자 노젓는 넷플릭스... 찐팬들 위해 '케데헌' 공식 계정 만들었다
- [뉴스] '케데헌' 신드롬은 현재 진행중... 넷플릭스 역대 흥행 영화 2위, 1위도 눈앞에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