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5,538회 댓글 0건

머니맨
2024-10-18 11:25
美 리콜왕은 '포드', 2010년 이후 545건으로 1위...파워트레인 결함 최다
출처= Voronoi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미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자동차의 제조사 가운데 가장 많은 리콜 명령을 받은 곳은 '포드'인 것으로 나타났다. 포드는 2010년 이후 545건의 리콜을 실시했으며 이 가운데 15%가 파워트레인 결함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인포그래픽과 데이터 시각화 자료를 통해 복잡한 경제, 금융, 기술 등 다양한 주제를 쉽게 전달하는 미디어 플랫폼 비주얼 캐피탈리스트(Visual Capitalist)는 최근 2010년부터 2024년 8월 15일 기준 미국 교통안전국(NHTSA) 데이터를 집계해 가장 많은 리콜을 실시한 상위 10대 제조사 목록을 발표했다.
리콜 건수 상위 10대 제조사 1위에 오른 포드는 전체 건수의 15%가 파워트레인 결함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포드는 올해에도 F-150 55만 대, 에코 부스트 9만 여대가 변속기 및 터보 엔진 때문에 리콜을 실시했다.
파워트레인의 고질적 결함이 리콜 사유에서 드러난 셈이다. 포드는 리콜 건수 상위 10대 제조사 가운데 파워트레인 결함이 차지하는 비중이 15%로 가장 높았고 또 유일했다.
RV 및 캠퍼, 트레일러 등을 전문으로 제조하는 포레스트 리버(Forest River)가 527건으로 뒤를 이었고 스텔란티스와 다임러 트럭이 각각 514건, 465건으로 3위와 4위 목록에 올랐다.
이어 지엠(451건), 메르세데스 벤츠(345건), BMW(335건), 폭스바겐(302건), 중대형 상용 트럭을 제조하는 나비스타(261건) 그리고 혼다가 242건으로 리콜이 가장 많은 10대 브랜드로 꼽혔다.
상위 10대 제조사의 리콜 사유 가운데 비중이 가장 높았던 것은 5건을 차지한 에어백 결함이다. 이는 2008년 시작한 타카타 에어백 사태의 영향 때문이다. 에어백에 이어 전기 계통 결함이 3건으로 가장 많았다.
현대차와 기아는 전 기간 통계에서는 10대 목록에 포함되지 않았다. 다만, 현대차는 2021년 20건으로 10위, 2022년 기아가 24건으로 2010년 이후 연도별 리콜 상위 10대 제조사 목록에 포함됐다. 현대차와 기아는 2024년에도 각각 19건과 15건으로 상위 10대 제조사 목록에 올라 있다.
한편 최근 5년간 국내 리콜 건수는 BMW가 2702건(사유 및 모델 중복 건수 포함)으로 가장 많았고 메르세데스-벤츠(1555건), 폭스바겐(467건) 순이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 SUV GLC EV 티저 이미지 공개
[0] 2025-08-05 17:25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폭스바겐그룹, 새로운 기업 디자인 글로벌 차원 판매법인ㆍ판매조직에 순차 적용
-
[김흥식 칼럼] '현대차 혹은 BMW' 극단적 양극화로 치닫는 자동차 내수 시장
-
[철통 방어] 기아, 틱톡 '기아 보이즈' 공격에 신규 실린더 프로텍터 보급
-
[아롱 테크] 수천 대 드론쇼, 어떻게 충돌을 피할까? 자율주행차 '군집 제어' 기술
-
수입차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유턴, 지난해 전년比 4.4% 감소한 27만대 판매
-
르노코리아, 2023년 총 104,276대 판매
-
[EV 트렌드] 테슬라 2023년 총판매 180만 대 달성 '모델 3 · Y 집중도 96%'
-
中 BYD 글로벌 톱10 부상, 지난해 300만대 기록...전기차 경쟁 테슬라 위협
-
'국산차 날았다' 현대차ㆍ기아 158만대, 美 스텔란티스 제치고 4위로 상승
-
[커넥티드카] '차 안에서 우리집 가전을 깨우다' 현대차·기아, 삼성전자와 맞손
-
[리콜] 2024년 첫 자동차 리콜은 테슬라 모델 Y 등 4차종 '오토파일럿' 오류
-
[2023 자동차 결산] 국내 완성차 총판매 800만 대 육박 '전년비 8.1% 증가'
-
[2023 자동차 결산] 현대차, 총 421만 6680대 판매...전년 대비 6.9% 증가
-
현대차, 2023년 421만 6,680대 판매
-
기아, 2023년 308만 5,771대 판매
-
[2023 자동차 결산] 기아, 창사 이래 최대 실적...6.3% 증가한 308만대 기록
-
[2023 자동차 결산] 르노코리아, 요란한 인적 쇄신에도 내수 급감...수출 동반 추락
-
[2023 자동차 결산] 한국지엠 76.7%↑, 쉐보레 트레일블레이저 국산차 최다 수출
-
[오토포토] 눈빛부터 심상치 않네 지프 신형 랭글러 예상보다 큰 변화
-
[2023 자동차 결산] KG모빌리티, 사명 교체 효과 없음으로...주력 모델 40% 급감
- [유머] 스포 떡상한 샹크스스포
- [유머] 신뢰안가게 생긴 과학자 관상
- [유머] 여름을 그림 한장으로 표현하기
- [유머] 외국인이 요즘 한국인한테 하는 욕 근황
- [유머] 요즘 법원 근황
- [유머] 요즘 역사교과서 근황
- [유머] 딸 선호율 세계 1위 국가
- [뉴스] 수해복구 현장서 숨진 베테랑 굴착기 기사... 유족 '책임지는 사람 하나 없어' 울분
- [뉴스] '바쉐론 시계' 전달한 사업가 '윤석열, 대선 꿈도 안 꿔... 서울시장 나가려 했다'
- [뉴스] '테이블 밑에도 몰카가...' 제주 중소기업 대표 40대 아들, 여직원 불법촬영 논란
- [뉴스] 박나래가 만났던 '키 190cm' 전남친 의심부터 한 기안84
- [뉴스] '유재석 웃음벨' 홍진경이 유느님 생일 축하하는 방법
- [뉴스] 박하선, '♥류수영' 덕에 전 세계 2개 있는 '7성급 호텔'서 호화 여행
- [뉴스] '좀비딸' 15일 연속 박스오피스 1위 지켰다... 400만 돌파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