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5,329회 댓글 0건

머니맨
2024-11-07 11:45
[칼럼] 트럼프의 미국과 한국 자동차 산업 '꼼꼼한 대책으로 기회 만들어야'
[오토헤럴드 김필수 교수]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미국 47대 대통령에 당선됐다. 그가 취임후 펼칠 미국의 정책에서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경제다. 수출을 기반으로 하는 우리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 확실한 상황이다.
지난 대선에서 집권에 실패하고 다시 집권한 만큼 집권 초기부터 강력한 미국 우선주의 정책이 쏟아질 것이라는 점에서 우려가 더 크다. 트럼프 당선인이 방향성을 파악하기 어려운 성향이라는 점도 마찬가지다.
정치와 외교, 경제 등 모든 분야에서 현 바이든 행정부와 전혀 다른 정책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지만 우선 우리 자동차 산업에 미칠 영향부터 살펴보자.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 대통령 임기에서 보여준 것처럼 친환경차에 대한 부정적 생각을 하고 있다. 선거 때부터 그는 자신이 취임하면 전기차 의무 판매제를 없애고 전기차와 배터리 보조금 정책을 완전히 취소하겠다고 언급해 왔다.
미국의 친환경차 정책에 대한 변화가 있을 것이 분명하다. 조지아에 천문학적 비용을 투자해 공장을 만든 현대차그룹이 당장 영향을 받겠지만 그 정도가 크지는 않을 전망이다. 하이브리드 생산 등 다양성을 고려한 능동적 시스템을 도입해 '메이드 인 USA' 제품을 투입하면 오히려 기회가 될 수도 있다.
문제는 국내산 자동차의 대미 수출이다. 관세 등의 장벽으로 가격 경쟁력을 잃게 되면 미국은 쉽지 않은 시장이 될 것이다. 트럼프에 올인한 일론 머스크 덕분에 전기차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는 테슬라의 자율주행 운행 허가 등 보이지 않는 특혜도 예상할 수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테슬라 전기차의 독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현대차그룹은 3000만 원대 수준의 전기차 가성비 전략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높고 수요가 급증한 하이브리드카를 활용하는 마케팅 전략이 시급하다.
미·중 간 갈등으로 대중국 관세 부과는 물론 중국산 제품에 대한 무차별적인 제한 정책도 시행될 전망이다. 당장 중국산 제품에 대한 60%의 관세 부과가 수면 위로 올라올 것이며 멕시코 등 우회 수입도 막게 되면 미국 이외 지역에서 우리와 중국산 경쟁이 심화하는 유탄이 될 수 있다.
기아 조지아 공장 생산 라인 전경
미ㆍ중 갈등이 미국이나 중국 이외 지역에서 우리 자동차 산업에 미칠 영향에 대비해야 한다.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폐지나 개정에도 대비해야 한다. 전기차 보조금은 폐기가 이뤄질 것이고 전기차와 배터리에 대한 세제 혜택 축소나 폐기도 생각해야 한다. IRA 관련 조항 중 해외 우려 집단(FEOC)에 대한 변화도 예상된다.
더욱 까다로운 규정으로 강화해 중국산 원료 유예 부분도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 우리 배터리를 규제하면 미국 전기차 전체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미뤄왔지만, 전기차, 친환경에 별 관심이 없는 트럼프에게 그런 건 고려 대상이 아니다. 공급망의 해외 다변화 강화 등 확실한 대비책이 요구된다,
내연기관차 회귀 가능성도 있다. 친환경차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 부존 석유 자원에 대한 선호도가 높고 온실가스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커서 탄소중립이나 감소에 대한 정책 후퇴가 예상된다. 지구 온실가스의 저감 목표가 늦춰질 가능성이 높아졌고 따라서 친환경차 보급, 지구 온실가스 저감 목표의 재정립도 필요하다.
트럼프의 이러한 성향은 결국 전기차 캐즘을 부추겨 전기차와 배터리 주도권을 갖고 있는 우리 자동차 산업이 다른 국가 대비 손실이 커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커지는 만큼 확실한 대비책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현대차그룹의 대미 흑자 규모가 더욱 커지는 상황에서 10%의 보편적 관세 부과가 현실이 될 가능성도 높아졌다. 일각에서 예상하는 대미 수출 30조 원 감소 전망의 상당 부분을 자동차가 차지할 수 있다. 트럼프가 저소득층 블루칼라의 지지를 얻어내기 위해 선거 과정에서 보여준 발언들도 현대차그룹이 노조 결성 등에 철저하게 대비해야 할 이유를 줬다.
그가 어떤 정책을 내놓을지 아직은 가늠하기 힘들지만, 방향성이 분명하다는 점이 우리 입장에서 다행스럽기는 하다. 냉정하게 판단하고 치밀하게 준비한다면 단점을 장점으로 바꿀 기회도 만들어질 것이라 확신한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메르세데스 벤츠, 전기 SUV GLC EV 티저 이미지 공개
[0] 2025-08-05 17:25 -
2025년 8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8-01 16:25 -
[EV 트렌드] 테슬라, 유럽서 모델 S·X 신규 주문 중단…단종 가능성은?
[0] 2025-07-31 14:25 -
2025년 7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0] 2025-07-01 15:45 -
르노코리아, 5월 판매 9,860대…전년 대비 47.6% 증가
[0] 2025-06-02 17:25 -
현대차, 5월 글로벌 판매 35만 1,174대…전년 대비 1.7% 감소
[0] 2025-06-02 17:25 -
KGM, 5월 9,100대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1.9% 증가
[0] 2025-06-02 17:25 -
포르쉐코리아, 예술 스타트업 지원 확대…지속가능 창작 환경 조성
[0] 2025-06-02 14:25 -
현대차·기아, 'EV 트렌드 코리아 2025'서 전동화 미래 선도 의지 강조
[0] 2025-06-02 14:25 -
아우디 Q5 45 TFSI 콰트로 등 4차종 '실린더 헤드 볼트' 2371대 리콜
[0] 2025-06-02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스파이샷] 현대 아이오닉 6 N, 641마력 성능으로 2025년 출시 예정
-
[스파이샷] 랜드로버, 2025년형 레인지로버 EV 출시 예고
-
애스턴마틴 발키리, 페르난도 알론소 디자인 직접 참여한 도로 위 F1 차량
-
KGM 신입사원, 직접 선물 준비해 평택 관내 소외계층 지원 봉사
-
[영상] 전동화와 디지털 전환을 이끄는 '현대웨이'의 비전과 과제
-
MINI 코리아, ‘뉴 MINI 쿠퍼 C 3-도어’ 국내 공식 출시
-
325. 폭스바겐 공장 폐쇄가 초래한 유럽 전기차 시장의 '나비효과'
-
현대차·기아, 신용등급 ‘AAA’로 상향
-
'600km 달리는 대형 전기트럭' 볼보트럭, FH 일렉트릭 공개
-
[EV 트렌드] 폴스타, 전기 SUV '폴스타 4' 인증 완료… 완충시 511km 주행
-
'스르륵 열리는 도어' 폭스바겐 ID.4 미국서 9만 8000여대 리콜
-
기아, 세계 1위 직격 '테슬라 팔고 EV9 구매하면 최대 1500달러 추가 할인'
-
BMW·미니·포드 등 수입차 3개사 30개 모델 자발적 시정 조치...3만 1279대
-
벤츠, 팩토리얼 에너지와 함께 EV 주행거리 80% 확장하는 전고체 배터리 공개
-
'트랙터도 패밀리룩이라는 있어' 대동 GX 트랙터, ‘2024 굿디자인 어워드’ 선정
-
만트럭버스 그룹, ‘IAA 상용차 모터쇼 2024‘ 참가...전기·수소·디젤 트럭 공개
-
추석 연휴, 장거리 운전 챙겨야 할 것들...전기차 긴급 충전 서비스도 확인
-
폭스바겐, 타임리스 아이콘 골프 50주년 ‘2024 골프 트레펜’ 참가자 모집
-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AET 및 아우스빌둥 프로그램 발대식 개최
-
강력한 성능 '아이오닉 6 N' 2025년 출시… 최대 641마력 듀얼 모터 적용
- [유머] 위안부 할머니 8명 이름 삭제
- [유머] 스포 떡상한 샹크스스포
- [유머] 신뢰안가게 생긴 과학자 관상
- [유머] 여름을 그림 한장으로 표현하기
- [유머] 외국인이 요즘 한국인한테 하는 욕 근황
- [유머] 요즘 법원 근황
- [유머] 요즘 역사교과서 근황
- [뉴스] 수해복구 현장서 숨진 베테랑 굴착기 기사... 유족 '책임지는 사람 하나 없어' 울분
- [뉴스] '바쉐론 시계' 전달한 사업가 '윤석열, 대선 꿈도 안 꿔... 서울시장 나가려 했다'
- [뉴스] '테이블 밑에도 몰카가...' 제주 중소기업 대표 40대 아들, 여직원 불법촬영 논란
- [뉴스] 박나래가 만났던 '키 190cm' 전남친 의심부터 한 기안84
- [뉴스] '유재석 웃음벨' 홍진경이 유느님 생일 축하하는 방법
- [뉴스] 박하선, '♥류수영' 덕에 전 세계 2개 있는 '7성급 호텔'서 호화 여행
- [뉴스] '좀비딸' 15일 연속 박스오피스 1위 지켰다... 400만 돌파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