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1,740회 댓글 0건

머니맨
2025-02-12 17:25
[김흥식 칼럼] 중국은 전기차만 수출한다? 알고 보면 내연기관차 강국
중국 BYD는 최근 세계 최초로 전기차 누계 생산 500만 대를 기록했다. 사진은 BYD 전기차가 노르웨이 선적을 기다리고 있는 모습이다. (BYD)
[오토헤럴드 김흥식 기자] 중국에서 자동차를 판매 사업자들이 전기차를 우대하는 정부 정책의 전면 수정을 주장하고 나섰다. 각종 세제를 전기차와 동등하게 부과하고 운행을 제한하는 등의 규제를 풀라고 요구했다.
중국자동차딜러협회(CPCA)는 이에 더해 내연기관차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에 중국 정부의 투자와 지원 필요성도 제기했다. 이 같은 요구가 전기차 최다 생산국이자 내수와 수출 규모에서도 세계 1위인 중국에서 나오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지난 1월 중국 신차 시장에서 전기차를 포함한 신에너지차(NEV) 비중은 41.5%(CPCA)에 달했다. NEV는 전기차(BEV)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하이브리드(HEV), 주행거리 연장형 전기차(EREV)를 포함한다.
중국 정부는 오는 2035년 전체 신차 수요에서 NEV 비중을 50%까지 끌어 올리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를 위해 NEV를 우대하는 지원 정책을 펴는 반면 내연기관차는 강력한 규제로 시장 진입을 막고 있다. 도로 혼잡을 막는다는 이유로 특정 시간대 운행을 전면 금지한 곳도 있다.
내연기관차 차별 폐지를 요구하는 이유는 수출 비중이 여전히 높아서다. 실제로 2024년 중국 수출 차량 641만 대 가운데 내연기관차가 440만 대나 됐다. 중국산 자동차 수출의 69%를 내연기관차가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는 하이브리드도 포함돼 있다.
이는 지난해 우리나라가 기록한 자동차 수출 대수 218만 대보다 두 배나 많은 물량이다. 중국이 이렇게 전기차보다 내연기관차를 더 많이 수출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낯설다. 이들은 중국에서 엄청난 매장량을 가진 새로운 유전이 속속 발견되고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전기차 지원 축소에 따른 세계 시장의 변화까지 예로 들며 내연기관차를 지속할 이유로 꼽고 있다.
따라서 내연기관차에 적용하는 엄격한 환경 규제를 전기차와 같은 수준으로 완화해 줄 것, 그리고 연료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투자와 지원, 심지어 소비자들이 공정한 선택을 할 수 있게 인식을 바꾸기 위한 캠페인의 필요성도 주장하고 있다.
시장이 변하고 있으니 중국산 자동차의 우위와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내연기관차를 전기차와 동등하게 대우해 달라는 얘기다.
하지만 자동차 판매 사업자들이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동등한 대우를 요구하고 나선 건 중국 자동차의 내수 시장과 수출 상황이 달라서다. 수출 비중이 높은 내연기관차가 규제로 인해 생산이 줄면 자신들의 손실이 커질 것을 우려한 것이기도 하다.
'친환경=전기차'라는 인식과 함께 내연기관차에 대한 규제는 없지만 전기차에만 지원이 쏠려 있는 우리 자동차 산업도 중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대 수출국 미국 자동차 시장의 변화, 전기차 수요 급감 등에 대비해 효율성이 좋은 내연기관차를 개발하고 하이브리드카에 대한 지원을 무조건 축소하고 폐지하는 것이 옳은지 생각해 볼 때다.
김흥식 기자/[email protected]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바이두 아폴로 고, 자율주행 차량 호출 1,100만 건 돌파…글로벌 확장 가속
[0] 2025-05-23 17:25 -
볼보 트럭 드라이버 챌린지 성료…연료 효율과 지속 가능성 강조
[0] 2025-05-23 17:25 -
미니코리아, 창립 20주년 기념 고객 사진전 개최…다채로운 볼거리·즐길 거리 제공
[0] 2025-05-23 17:25 -
한국자동차공학회 춘계학술대회 성황…미래 모빌리티 기술 논의 활발
[0] 2025-05-23 17:25 -
유럽 전기차 시장 지각 변동… BYD, 4월 판매량 첫 테슬라 추월
[0] 2025-05-23 17:25 -
극도의 쐐기형 디자인, 현대차 콘셉트카 '옵시디언'... 묘하게 인상적
[0] 2025-05-23 17:25 -
'누가 제값 주고 전기차를 사' 지난달 中 전기차 평균 할인율 16.8% 도달
[0] 2025-05-23 17:25 -
CATL, 혼다와 전략적 협력 심화… LFP, CTB, 공급망 등 전방위 협력
[0] 2025-05-23 14:25 -
중국 전기차 네타, 파산 심사 소송 휘말려… 자진 파산설 부인
[0] 2025-05-23 14:25 -
MINI 코리아, 창립 20주년 기념 두 번째 사진전 진행...LP 음반 커버 연상
[0] 2025-05-23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KGM '딥컨트롤' 고도화 및 내재화 속도... 첨단 기술 보유 업체와 MOU
-
[EV 트렌드] 니오 소형 전기차 '파이어플라이' 첫 공개… 미니 · 스마트 타깃
-
도요타, 글로벌 생산 10개월 연속 감소 '美 · 中 수요는 견고'
-
'테슬라는 되는데' 폭스바겐, 전기차 스카우트 직판에 제동이 걸린 이유
-
BMW 스타트업 개러지 선정, 웍스컴바인 AI 기반 'BMW VoC 분석기' 도입
-
현대차 아이오닉 5, 전기차로 오른 최고 높이 '5802m' 기네스북 등재
-
차량 안전도 극과극 'EV3 1등급 · 모델 Y 4등급'... 지프 랭글러 5등급 최하
-
[2025 미리보는 맞수 7] BYD 씰 Vs 현대차 아이오닉 6 '한·중 전기차 대결'
-
[기자 수첩] '분명 손해보는 장사' 혼다는 왜 닛산의 손을 잡았을까?
-
자동차 전문기자협회 '2025 올해의 차' 1차 후보 35대 선정 발표
-
美 카누, 심각한 재정적 위기 직면… '단 1대 차량도 생산하지 않았다' 폭로
-
콘티넨탈, CES에서 운전자 · 차량의 감성적 연결 '이모셔널 콕핏' 공개 예고
-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일렉트릭 '사막과 도심' 막바지 가혹 테스트 통과
-
BMW 코리아,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키스’와 협업한 ‘XM Kith 콘셉트’ 국내 최초 공개
-
혼다코리아, 지역 아동 및 혼다 앰버서더와 함께한 특별한 크리스마스 이벤트 진행
-
명가의 명차로 불리는 '볼보 XC60'... 노벨문학상 한강 작가가 탔던 차
-
BYD 브라질 공장, 불법 이민자들 노예처럼 근무... 노동력 착취 파문
-
[EV 트렌드] 미니 컨트리맨 E, 국내 인증 '최대 주행가능거리 367km'
-
BMWㆍ키스 협업, 독창적 스타일 ‘XM Kith 콘셉트’ 국내 최초 공개
-
BMW, 국제 제재 위반 러시아에 신차 100대 팔아... 회사, 연루 직원 해고
- [유머] 삼겹살 가격 따라 잡으려는 그 음식
- [유머] 나는 개새끼다
- [유머] 안경인들 빡치게 하기
- [유머] 학부모 민원에 시달린 교사
- [유머] 고백공격 성공한 썰
- [유머] 대학축제 부스 근황
- [유머] 차 테러 당한 호구
- [뉴스] '예산 홍보대사 해촉하라'... 백종원 논란에 쏟아지는 '민원'
- [뉴스] 반성한다더니... 19세 목숨 빼앗은 '만취' 포르쉐 차주, 형량 늘자 '불복'
- [뉴스] 민주당, 김문수 '허위사실 공표죄'로 고발... '선거 앞둔 악의적 공세'
- [뉴스] ''거북섬' 허위 선전 출처가 온라인 커뮤니티?'... 민주당, 이준석 '고발' 예고
- [뉴스] 과자·음료수 훔치고 징역 1년 6개월 선고... 피해금액 '1천원', 판결 이유는
- [뉴스] 대선 앞두고, 정치성향 드러낸 최준희... '좌파 없는 나라에 살고 싶다'
- [뉴스] 톰 크루즈 효과, 역시 '대박'... 미션임파서블8 박스오피스 8일째 1위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