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자동차
9,351
중국 전기차의 부상과 한국의 대응: 2025 글로벌 경쟁 구도 심층 분석
조회 2,432회 댓글 0건

머니맨
2025-01-15 17:00
중국 전기차의 부상과 한국의 대응: 2025 글로벌 경쟁 구도 심층 분석

한국자동차기자협회 주최 신년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이번 세미나는 ‘2025년 주목해야 할 글로벌 자동차 시장 주요 이슈’를 주제로, 국내외 자동차 시장을 조망하고 미래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현대자동차그룹(HMG) 경영연구원의 양진수 실장이 주요 발표자로 나섰으며, 참석자들에게 깊이 있는 통찰과 전망을 제공했다. 양 실장은 발표를 시작하며 “미래 전망은 틀릴 수밖에 없는 영역”이라며, 올해 시장 환경과 흐름을 중심으로 분석 결과를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그의 발표는 네 가지 핵심 키워드로 요약되었다: 성장 둔화, 전기차 수요 변화, 중국 업체의 영향력 확대, 그리고 레거시(Legacy) OEM들의 전략 변화다.

1. 성장 둔화와 시장 구조 변화
양 실장은 먼저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2023년부터 수요자 우위 시장으로 전환되며 재고 증가와 인센티브 확대가 두드러졌다”고 분석했다. 그는 “팬데믹 이후 누적된 대기 수요가 2024년까지 대부분 해소되며, 시장 성장률이 둔화되었다”고 설명했다.
2025년에는 거시 경제 환경과 동기화된 시장 움직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주요 지역별로 성장률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는 금리 인하 기조가 경제 성장의 방어적 요소로 작용하겠지만, 경기 둔화라는 전반적 흐름은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시장의 변화
미국 시장은 2024년 금리 인상이 상반기까지 영향을 미치며 소비자 수요가 제한된 상황이었다. 2025년에는 금리 인하가 시작되며 자동차 할부 금융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경기 둔화로 인해 소비심리가 약화되면서, 전체적인 시장 성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양 실장은 분석했다.
서유럽의 전망
서유럽은 2024년 경기 침체와 높은 물가 상승이 소비를 제한하며, 자동차 시장이 정체 상태를 유지했다. 2025년에는 금리 인하와 CO2 규제 강화가 맞물리며 전기차와 PHEV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레거시 OEM들이 내연기관의 가격을 올리고 공급을 제한하는 전략을 취함으로써 시장의 성장률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2. 전기차의 캐즘과 시장 과제
양 실장은 전기차 시장의 성장이 둔화되며 “캐즘(Chasm)”에 빠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2024년 전기차 시장은 5년 전과 비교해 침투율이 크게 증가했으나, 이제는 고성장기의 기대를 충족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전기차 시장의 성장 둔화 요인
양 실장은 “전기차의 캐즘은 경제성, 인프라 확충, 소비자 신뢰 부족 등 여러 요인에서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배터리 원자재 가격의 변동성과 전기차 가격 경쟁력의 한계는 소비자 수요를 제약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CO2 규제 강화와 같은 정부 정책은 전기차 보급을 촉진하지만, 독일과 같은 유럽 주요 시장에서 보조금이 중단되며 시장 성장세에 제동이 걸렸다. 그는 “유럽 내 전기차 보급률이 높아지는 것은 규제의 힘이 크지만, 소비자 수요가 이를 충분히 뒷받침하지 못한다”고 평가했다.
중국과 미국 시장의 대조
중국은 대도시와 지방 도시 간 전기차 침투율 격차가 여전히 존재하며, 이러한 상황에서 PHEV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반면, 미국 시장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트럼프 2기 정부의 정책 변화 가능성이 전기차 시장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다.

3. 중국 업체의 약진과 글로벌 영향력 확대
양 실장은 중국의 전기차 침투율이 급격히 증가하며,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4년 중국의 전기차 침투율은 약 48%로, 5년 만에 10배 가까운 성장을 기록했다.
중국 시장의 구조적 변화
BYD를 비롯한 중국 업체들은 전기차 가격 경쟁력을 크게 확보했으며, 이는 내연기관 차량의 시장 점유율을 잠식하고 있다. 양 실장은 “중국의 전기차 시장은 스타트업 간의 치열한 경쟁과 정부의 정책 지원으로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시장이 되었다”고 평가했다.
신흥 시장에서의 확장
중국 업체들은 브라질, 아세안, 아프리카 등 신흥 시장에서도 적극적인 확장을 이어가고 있다. 양 실장은 BYD의 브라질 공장 건설과 태국 시장 내 성공 사례를 들며, 중국 업체들의 신흥 시장에서의 잠재력을 강조했다.
4. 레거시 OEM들의 대응 전략
전통적인 자동차 제조사들은 구조조정과 비용 절감을 통해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폭스바겐과 닛산은 비용 효율화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과의 협업 확대
양 실장은 “폭스바겐, 스텔란티스와 같은 제조사들이 중국 업체들과의 협업을 통해 전기차 개발과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협업은 중국 시장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중요한 전략적 방향이 될 것이다.
신기술과 오픈 이노베이션
스마트화와 자율주행 기술은 레거시 OEM들에게 새로운 도전 과제이자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 양 실장은 “레거시 OEM들이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외부 기술을 도입하고 협업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발표 이후 참석자들은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부상,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 구도 변화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질문을 던졌으며, HMG 경영연구원의 양진수 실장이 이에 답변했다.
현대차와 기아의 중국 시장 전략과 관련된 질문에서 참석자들은 중국 로컬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양사가 어떤 돌파구를 마련할지에 주목했다. 양진수 실장은 “현대차와 기아는 중국 시장에서의 활로를 모색하고 있으며, 최근의 ‘중국화’ 전략이 성과를 내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중국 로컬 업체들이 보여주는 기술 발전 속도와 가격 경쟁력은 매우 위협적”이라며, “현대차와 기아는 이러한 시장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장기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 전기차 제조사 BYD의 한국 시장 진출과 관련된 질문도 이어졌다. 양 실장은 BYD의 강력한 가격 경쟁력과 배터리 기술을 강조하며, “BYD는 국내 전기차 시장에서 위협적인 경쟁자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그는 “국내 소비자들의 중국 브랜드에 대한 인식은 BYD가 국내에서 어떤 방식으로 사업을 전개하느냐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며, “자동차 업계는 BYD의 진출을 경시하지 말고 위기감을 느껴야 한다”고 조언했다.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원가 경쟁력과 스마트화를 통해 빠르게 시장에서 부상한 원인과 이에 대한 한국 업체들의 대응 방안에 대허서 양 실장은 “중국은 전기차 기술의 기술 추격이 용이하다는 점과 정부의 장기적인 산업 육성 정책을 바탕으로 전기차 생태계를 구축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또한 “치열한 내수 경쟁이 기술 혁신과 원가 절감을 이끌어냈다”며, “한국은 글로벌 기술 협력과 정부의 산업 생태계 지원을 통해 이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율주행 기술이 상용화되는 데 필요한 조건과 글로벌 규제 변화에 대한 질문에서, 양 실장은 “기술의 상용화는 법적 규제와 사회적 수용성 문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 자율주행 관련 법규가 정립되면 다른 국가들이 이를 따라가는 형태가 될 가능성이 크다”며, “특히 미국에서 트럼프 2기 정부가 자율주행 규제를 완화할 경우, 예상보다 빠른 상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부품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보호무역주의가 심화될 경우 레거시 OEM들이 어떻게 대응할지에 대한 질문도 제기됐다. 양 실장은 “중국산 부품 사용에 대한 규제가 강화될 경우 공급망의 재구조화가 필수적”이라며, “완성차 업체와 협력사가 협력해 새로운 공급망 구축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그는 “중장기적으로는 로컬라이제이션 전략과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를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마지막으로 한국 전기차 시장에서 중국 업체의 잠재적 위협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양 실장은 “중국 업체들은 기술과 가격에서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며, “한국 자동차 업계는 소비자와의 신뢰 관계를 공고히 하고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중국 업체들의 부상,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 글로벌 공급망의 변화 등은 모두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라며, “한국 자동차 업계는 이러한 변화를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기술 혁신과 전략적 협력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 글로벌오토뉴스(www.global-auto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머니맨
회원 먹튀사이트 최신글
-
“연비는 좋은데 충전은 불편”…8,072명 전기차 설문 결과 공개
[0] 2025-05-27 17:25 -
고성능 전기 SUV 4종 비교…가장 완성도 높은 모델은?
[0] 2025-05-27 17:25 -
한국타이어, 대전시 대덕구 취약계층 가정에 ‘희망의 빛 키트’ 전달
[0] 2025-05-27 17:25 -
미쉐린코리아, 연비·내구성 강화한 신형 트럭 타이어 ‘X 멀티 에너지’ 출시
[0] 2025-05-27 17:25 -
토요타, 신형 RAV4 자체 소프트웨어 플랫폼 아린.OS 탑재
[0] 2025-05-27 17:25 -
고성능 2도어 쿠페 ‘더 뉴 메르세데스-AMG GT 55 4MATIC+’ 출시
[0] 2025-05-27 14:25 -
추위보다 고온에 약한 자동차, 폭염 오기전 반드시 살펴봐야 할 목록
[0] 2025-05-27 14:25 -
볼보트럭, 2025 세계 연비왕 대회 개최...한국 대표 온로드 부문 종합 우승
[0] 2025-05-27 14:25 -
폴스타, ‘투르 드 경남 2025’ 후원...무소음 폴스타 4 현장의 숨은 조력자 활약
[0] 2025-05-27 14:25 -
볼보 오너 스웨디시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 경험 ‘볼보 익스클루시브’ 실시
[0] 2025-05-27 14:25
남자들의 로망
시계&자동차 관련된 정보공유를 할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빨리 수리해야...기아 쏘렌토 PHEV, 연약한 연료 라인으로 화재 발생 가능성
-
中 샤오미, 2024년 13만 5000대 판매 '2025년 라인업 추가로 30만 대 계획'
-
[EV 트렌드] BYD 지난해 427만대 기록, 포드 추월 테슬라 턱 밑 추격
-
테슬라 사이버트럭 트럼프 호텔 앞 폭발 1명 사망, 美 당국 테러 여부 조사
-
하이브리드 풀사이즈 대형 SUV 등장 '렉서스 LX 700h' 상반기 韓 공략
-
스텔란티스, 닷지 차저 데이토나 EV 글로벌 시장 확장 발표
-
기아, EV9 모델 2만 2,883대 리콜… 시트 볼트 누락 가능성
-
쉘 리차지, 쉘 스카이 소프트웨어 단종 발표… 전 세계 충전 네트워크 투자 집중
-
2025년 1월 국산차 판매조건/출고대기 정리
-
SAIC, 이집트 맨소르 그룹과 MG 차량 현지 생산 협력 체결
-
상하이폭스바겐, 2025년 신차 출시 계획 발표
-
리오토, 초고속 충전 네트워크 1,400개소 돌파
-
BYD 팡쳉바오, 첫 전기 SUV ‘TAI 3’ 2025년 1월 출시
-
'전기차 생산기지로 전환' 르노코리아 부산공장 생산 설비 업데이트
-
르노코리아를 춤 추게한 '그랑 콜레오스' 하이브리드 열풍에 압도적 성과
-
中 샤오펑, 내달 CES 2025에서 수직이착륙 기체 품은 전기 미니밴 공개
-
현대차, 2025년 스타리아 일렉트릭 출시 '84kWh 배터리 탑재 전망'
-
강제 노동 음해라더니, BYD 브라질 공장 충격적인 숙소 현장 공개
-
쿠페 추가하니 역대급 '제네시스 GV80' 11월 현재 전년비 50.7% 증가
-
中 전기차 올해 1200만대, 10년 후 1800만대로 전체 비중 50% 전망
- [유머] 경주에 져서 펑펑 우는 말
- [유머] 돌아가신 아빠 일기장 꺼내봤다가 오열한
- [유머] 일본 청소년의 갗관
- [유머] 드디어 찾은 재능...
- [유머] 중국인들의 한국 테러 근황
- [유머] 지구는...
- [유머] 삼겹살 가격 따라 잡으려는 그 음식
- [뉴스] '날 적으로 돌리지 마'... '얼짱시대' 강혁민의 박태준 공개 저격, 왜?
- [뉴스] 교회 중등부 선생님이었다는 지예은 '19금 드립 많이 해서 교회 옮겼다'
- [뉴스] 13kg 감량 성공한 라미란, 다이어트 대성공 묻자 '뼈 있는 한마디' 남겼다
- [뉴스] '범생이 싫다는 말에'... 중3 때 첫 흡연했다고 고백한 박정민, 씁쓸한 이유 있었다
- [뉴스] 조째즈 '홍윤화 도플갱어급으로 닮아... 만나면 줄 중 하나 죽는다더라'
- [뉴스] '현대차와 공동개발'... 소방청, 무인 소방로봇 최초 공개한다
- [뉴스] SBS, 이번에도 역대급 CG로 '개표 맛집' 노린다... 삐끼삐끼 챌린지부터 '오겜'까지